목록2025/08 (6)
근묵자흑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컨테이너의 수명주기 관리는 단순히 "시작"과 "종료"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 장에서는 Kubernetes의 Managed Lifecycle 패턴을 실제 코드와 테스트를 통해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왜 Managed Lifecycle이 중요한가?실제 운영 환경에서 마주치는 상황들을 생각해보세요:Rolling Update 중 데이터 손실: 진행 중인 요청이 완료되지 않은 채 Pod가 종료Cold Start 문제: Java 애플리케이션이 준비되기 전에 트래픽 수신상태 저장 실패: 갑작스러운 종료로 인한 데이터 불일치연결 누수: 외부 서비스 연결이 제대로 해제되지 않음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이 바로 Managed Lifecycle 패턴입니다.실습을 통한 Managed L..
운영 환경에서 Kubernetes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애플리케이션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컨테이너가 실행 중이라고 해서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고 볼 수 없죠. 메모리 누수, 데드락, 무한 루프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Health Probe가 필요한 이유실제 장애 시나리오제가 경험한 실제 사례를 하나 공유하겠습니다. Java 애플리케이션이 OutOfMemoryError를 발생시켰지만, JVM 프로세스는 여전히 실행 중이었습니다. Kubernetes는 프로세스가 살아있다고 판단해 재시작하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서비스는 완전히 중단되었죠.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ubernetes는 세 가지 Health Probe..

왜 선언적 배포인가?여러분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을 Kubernetes에 배포한다고 상상해보세요. 새 버전을 출시할 때마다 이런 고민을 하게 됩니다."서비스 중단 없이 업데이트할 수 있을까?""문제가 생기면 빠르게 롤백할 수 있을까?""일부 사용자에게만 먼저 테스트해볼 수 없을까?"이 모든 질문의 답이 바로 선언적 배포 패턴에 있습니다.명령형 vs 선언적: 패러다임의 전환# 명령형 방식 (Imperative) - "어떻게" 할지 일일이 지시kubectl create deployment my-app --image=nginx:1.0kubectl scale deployment my-app --replicas=3kubectl set image deployment/my-app nginx=nginx:2.0kubect..
본 문서는 Linux 커널의 네트워킹 서브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을 제공한다. Ubuntu 24.04 LTS를 기준으로 네트워크 패킷이 커널을 통과하는 전체 경로를 추적하며, 고성능 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메커니즘들을 상세히 다룬다. 또한 현대적인 가상화 기술, 보안 기능, 그리고 시스템 관리자가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성능 최적화 방법론을 제시한다.1. 서론Linux 네트워킹 스택은 수십 기가비트의 네트워크 속도를 처리하면서도 다양한 프로토콜과 가상화 기술을 지원하는 정교한 시스템이다. 본 문서는 네트워크 패킷이 하드웨어에 도착하는 순간부터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되고 다시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전체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시스템 관리자가 네트워크 성능을 최적화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본 문서는 Linux 커널의 메모리 관리 서브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을 제공한다. Ubuntu 24.04 LTS를 기준으로 물리 메모리와 가상 메모리의 추상화, 커널의 다층적 할당 전략, 캐싱 메커니즘, 그리고 현대적인 메모리 관리 기능들을 체계적으로 다룬다. 시스템 관리자로서 필요한 실무적 관점에서 메모리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방법론을 함께 제시한다.1. 서론Linux 운영체제에서 메모리 관리는 시스템 성능과 안정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이다. 커널은 제한된 물리적 자원 위에 우아한 추상화 계층을 구축하여, 성능, 효율성, 안정성이라는 상충하는 요구사항들 사이에서 정교한 균형을 유지한다. 본 문서는 이러한 복잡한 메커니즘을 해부하여, 시스템 관리자가 실무에서 직면하는 메모리 관련 문제들을 이해하고..
Kubernetes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바로 예측 가능성입니다. Predictable Demands 패턴은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리소스와 런타임 의존성을 명확히 선언하여, Kubernetes가 효율적으로 워크로드를 스케줄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 패턴입니다.이 글에서는 실제 테스트 코드와 함께 Predictable Demands 패턴의 핵심 개념들을 살펴보겠습니다.📚 핵심 개념 이해하기1. 왜 Predictable Demands가 중요한가?Kubernetes는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이 공존하는 멀티테넌트 환경입니다. 각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한 리소스를 명확히 선언하지 않으면:🚨 리소스 경쟁: 애플리케이션 간 예측 불가능한 리소스 경쟁 발생?..